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KBO 프로야구 시즌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팬들이 기대하는 정규리그 일정, FA 승인 선수 명단, 그리고 올해의 관전 포인트에 대해 흥미진진하게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프로야구 정규리그
- 시작일: 2025년 3월 22일
경기 수: 총 144경기
주요 일정: 3월 22일 개막전
6월 1일 ~ 6월 30일: 올스타전 기간
10월 5일 정규리그 종료
특별 경기:
3월 22일 KIA 타이거즈 vs LG 트윈스의 개막전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4월 1일에는 SSG 랜더스와 KT 위즈의 맞대결이 있습니다.
※ 단, 4위 두산베어스의 경우 3위 LG와 두장 중복으로 6위 SSG의 홈에서 원정으로 진행된다
- 5월 5일 월요일이지만 어린이 날로 감안해 경기 편성
- KBO 올스타전 7월 12일(토) 대전 개최 예정
- 7월 11일부터 16일 올스타 휴식기간 6일로 확대
3월 22일 개막전 잠실(롯데 vs LG) 문학(두산 vs SSG) 수원(한화 vs KT) 대구(키움 vs 삼성) 광주(NC vs KIA) 에서 2연전으로 시작합니다.
두산베어스 팬으로 잠실이 홈인 개막전을 기대했는데 LG에게 순위가 밀리면서 아쉽게도 개막일 개막전은 다음시즌까지 기다려야 겠네요. 이번 시즌은 개막일 티켓팅은 잠시 쉬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4월에서 5월로 넘어가는 시기에 우리 선수들 이동일 없이 9연전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5월 5일이 이동일이지만 어린이 날임을 감안해서 4월 29일부터 5월 7일까지 이동일 없이 경기가 편성되었군요.
5월 5일 어린이 날은 격년제 편성 원칙에 따라 잠실(LG-두산) 고척(KIA-키움) 대전(삼성-한화) 사직(SSG-롯데) 창원(KT-NC)에서 어린이 날 행사와 함께 진행됩니다. 응원하는 팀이 홈 경기라면 어린이 날 야구장 티켓팅이 가장 큰 선물이 되겠네요.
올스타전은 7월 12일(토) 대전에서 개최 예정입니다.
우선 올스타 휴식기가 4일에서 6일로 늘어났어요. 이에 따라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하반기 첫 경기 펴넝이 4연전으로 시작됩니다.
7,8월의 일요일 및 공휴일의 경기는 오후 6시 시작으로 기존 5시에서 1시간 늦어졌습니다. 선수들이나 팬 모두 더운 여름 폭염에 대비할 수 있도록 시간이 일부 조정되었네요.
KBO에서 발표한 2025 프로야구 경기일정은 현재 8월 31일까지 팀당 135경기 우선 편성되었습니다. 미편성된 45경기는 추후 우전 등으로 취소되는 경기와 함께 추후 편성될 예정입니다.
2025 프로야구 정규리그 개막일에 앞서 진행될 시범경기는 3월 8일부터 18일까지 팀당 10경기가 편성됩니다.
시범경기까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선수들 동계훈련 잘 마치고 좋은 모습으로 야구장에서 만나기를 바랍니다.
2025 FA 승인 선수 명단 및 계약체결 현황
FA 제도란, 일정기간 자신이 속한 팀에서 활동한 뒤에 다른 팀과 자유롭게 계약할 수 있는 제도.
국내 프로야구에서는 FA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9시즌 이상 뛰어야한다.
* 타자 : 등록일수 145일 이상, 매 시즌 3분의 2 이상 출장
* 투수 : 매 시즌 규정 이닝 3분의 2 이상 등판
단, 대졸 선수는 8시즌, 재자격 취득은 4시즌 이며 해외 진출을 원하는 선수는 구단 동의하에 7시즌으로 자격이 주어진다.
기아 장현식 총액 52억원 4년 LG행(계약금 16억 연봉 36억)
두산 허경민 총액 40억원 4년 KT행 (계약금 16억 연봉 18억 옵션 6억)
KT 엄상백 총액 78억원 4년 한화행 (계약금 34억 연봉 32.5억 옵션 11.5억)
KT 우규민 총액 7억원 2년 계약 (계약금 2억 연봉 4억 옵션 1억)
KT 심우준 총액 50억원 4년 한화행 (계약금 24억 연봉 18억 옵션 8억)
SSG 최정 총액 110억원 4년 계약 (계약금 30억 연봉 80억)
롯데 구승민 총액 21억원 2+2년 계약(계약금 3억 연봉 12억 인센티브 총 6억)
롯데 김원중 총액 54억원 4년 계약
FA 승인 선수: 2025년 FA 선수는 총 30명으로, 이 중 20명이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주요 계약 현황:
KIA: 3명 (이정후, 김선빈, 박찬호)
LG: 1명 (이민호)
KT: 3명 (장성우, 유희관, 이대호)
SSG: 2명 (김광현, 최정)
NC: 3명 (이재학, 박민우, 나성범)
계약 마감일: 2025년 11월 6일.
2025 KBO 프로야구 올해 관전 포인트
스타 선수들의 활약:
KIA의 이정후, LG의 김현수, SSG의 최정 등 스타 선수들의 성적이 관전 포인트입니다.
신인 선수들의 성장:
2025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뽑힌 신인 선수들이 어떤 활약을 할지 주목해야 합니다.
팀 간의 경쟁:
각 팀의 전력 변화와 FA 영입으로 인해 더욱 치열해진 경쟁이 예상됩니다.
특별 이벤트:
올스타전과 같은 특별 이벤트가 팬들에게 큰 즐거움을 줄 것입니다
벌써 관전 포인트를 이야기하는 것은 좀 이르겠지만 역시 FA 시장을 통한 전력 보강과 신인의 활약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지 지켜보는 것은 재미있을 거예요.
외국인 타자와 투수의 활약, 리빌딩을 시도한 팀들의 결과 FA를 통해 타 팀으로 이적한 유망주들의 성장은 두고두고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낼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SSG 랜더스가 다시 한번 영광을 재현할 수 있을지 궁금해요. 매번 우승권에 근접했지만 지난 시즌 부진으로 많은 팬들에게 아쉬움을 안겼죠. 과연 리빌딩의 효과가 나올지 지켜보려고요.
야구는 TV에서 보는 것도 재밌지만 역시 현장에서 직접 보면서 응원하는 재미가 있죠! 2025 KBO 프로야구는 팬들이 더욱 많이 야구장을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이벤트와 프로모션이 준비될 예정이라고 하니 벌써부터 두근거리네요.
2025 프로야구 정규리그에서 가장 기대되는 팀은 어떤 팀
두산 베어스: 두산은 전통적으로 강력한 팀으로, 2025 시즌에도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특히, 투수진의 강화와 젊은 선수들의 성장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3.
SSG 랜더스: 최근 몇 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SSG 랜더스도 강력한 경쟁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팀의 전반적인 전력이 상승세를 타고 있어 기대가 큽니다.
LG 트윈스: LG는 젊은 선수들의 활약과 함께 팀의 전술적 변화로 인해 2025 시즌에 큰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티켓 예매 정보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 프로야구에서 가장 주목받는 선수는 누구
정현우 (덕수고 투수): 이번 드래프트에서 1순위로 지명된 선수로, 그의 뛰어난 성적과 잠재력으로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김서준 (충훈고 투수): 7번째로 지명된 선수로, 그의 기량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율예 (강릉고 포수): 포지션에서의 뛰어난 능력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프로팀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요즘 활약이 두드러진 야구팀
KIA 타이거즈
우승 도전: KIA 타이거즈는 2025년 2년 연속 우승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아덤 올러와 위즈덤 같은 선수들을 영입했습니다. 주장인 나성범의 활약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NC 다이노스
투수진 변화: NC 다이노스는 지난해 최고의 투수 하트가 떠난 후, 새로운 외국인 투수들을 영입하여 팀 전력을 보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선발투수진에 대한 불확실성이 남아 있습니다.
삼성 라이온즈
시범경기 참가: 삼성 라이온즈는 2025년 시범경기에 참가하며, 팀 전력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이 시범경기는 3월 8일부터 3월 18일까지 진행될 예정입니다.
LG 트윈스
전력 분석: LG 트윈스는 2025년 시즌을 대비하여 전력을 분석하고 있으며, 각 팀의 선발투수진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LG의 전력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두산 베어스
팀 전력 강화: 두산 베어스 역시 팀 전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으며, 시즌 시작을 앞두고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활약이 두드러진 팀으로는 KIA 타이거즈와 NC 다이노스가 있으며, 이들은 각각의 목표를 가지고 시즌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KIA는 연속 우승을 노리고 있고, NC는 새로운 외국인 투수들로 팀을 재편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팀들의 활약이 앞으로의 시즌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올해도 희로애락이 담긴 시즌이 될 텐데요. 나의 최애 팀이 잘할 때는 기쁨을, 아쉬운 순간에는 위로와 응원을 보내며 함께하도록 해요.
우리 모두가 기다린 2025 KBO 프로야구, 다 같이 즐겨봐요!